계엄령의 정의와 법적 근거
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말하다/전문지식

계엄령의 정의와 법적 근거

by 레이진 2024. 12. 20.
반응형

 

계엄령의 정의와 법적 근거

 

서론

대한민국에서 계엄령은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극단적인 조치로, 헌법과 법률에 의거하여 발동됩니다. 특히,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와 계엄법은 계엄령의 선포, 해제,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법적 절차와 권한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계엄령의 정의와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헌법 제77조와 계엄법의 주요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계엄령의 정의

계엄령은 국가가 아주 큰 위험에 처했을 때, 대통령이 특별 명령을 내려 군대가 치안을 맡게 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전쟁이나 큰 재난이 발생하면 경찰력만으로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 계엄령이 선포되면, 군대가 경찰 대신 질서를 유지하게 됩니다. 계엄령의 목적은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77조

대한민국 헌법 제77조는 계엄령의 선포와 관련된 헌법적 규정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제77조 ①: 대통령은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

 

제77조 ②: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구분된다.

 

제77조 ③: 비상계엄이 선포된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영장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정부나 법원의 권한에 관하여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제77조 ④: 계엄을 선포한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하여야 한다.

 

제77조 ⑤: 국회가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의 해제를 요구한 때에는 대통령은 이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 조항들은 계엄령의 선포와 해제에 대한 절차와 권한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국회의 통제와 감시를 통해 계엄령의 남용을 방지하고자 합니다.

 

계엄법의 주요 내용

계엄법은 계엄령의 선포와 해제,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법적 절차와 권한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2조(계엄의 종류와 선포 등):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구분되며, 대통령이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적과 교전 상태에 있거나 사회질서가 극도로 교란되어 행정 및 사법 기능의 수행이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 군사상 필요에 따르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선포한다.

 

제3조(계엄 선포의 공고):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때에는 그 이유, 종류, 시행일시, 시행지역 및 계엄사령관을 공고하여야 한다.

 

제4조(계엄 선포의 통고):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하여야 하며, 국회가 폐회 중일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 없이 국회에 집회를 요구하여야 한다.

 

제5조(계엄사령관의 임명 및 계엄사령부의 설치 등): 계엄사령관은 현역 장성급 장교 중에서 국방부장관이 추천한 사람을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제7조(계엄사령관의 관장사항): 비상계엄의 선포와 동시에 계엄사령관은 계엄지역의 모든 행정사무와 사법사무를 관장한다.

 

제9조(계엄사령관의 특별조치권): 비상계엄지역에서 계엄사령관은 군사상 필요할 때에는 체포·구금·압수·수색·거주·이전·언론·출판·집회·결사 또는 단체행동에 대하여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제11조(계엄의 해제): 대통령은 계엄 상황이 평상상태로 회복되거나 국회가 계엄의 해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계엄을 해제하고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계엄령의 발동 요건과 절차

계엄령을 선포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비상상황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주로 전쟁, 국가 간 전쟁 상태, 또는 국가 안전과 질서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발동 절차는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국회 동의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합니다.

 

국회 해산 상황에서의 계엄령 선포와 통보 의무

국회가 해산되거나 국회의원들이 자리를 비운 경우, 계엄령 선포에 대한 통보 절차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법적 쟁점이 존재합니다. 헌법 제77조에 따르면, 계엄을 선포한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국회가 해산된 상황에서는 이 절차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법적 해석과 실제 사례를 통해 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대한민국에서 계엄령은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극단적인 조치로, 헌법과 법률에 의거하여 발동됩니다. 헌법 제77조와 계엄법은 계엄령의 선포, 해제,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법적 절차와 권한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국회의 통제와 감시를 통해 계엄령의 남용을 방지하고자 합니다. 계엄령의 발동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그 절차와 법적 근거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